맨위로가기

아일랜드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의 경제는 역사적으로 보호 무역주의와 경제 민족주의 정책을 겪었으며, 1950년대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와 자유 무역을 통해 개방 경제로 전환되었다.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켈트의 호랑이"로 불리는 경제 호황기를 누렸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로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 이후 경제 회복을 보이며 2013년 EU/ECB/IMF 구제 금융에서 탈출하였고, 2014년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유럽 연합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가 되었다. 아일랜드는 현재 서비스업, 농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ICT, 제약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미국 및 EU와의 국제 관계를 통해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경제 - 아일랜드 중앙은행
    아일랜드 중앙은행은 물가 및 금융 안정, 소비자 보호를 책임지고 아일랜드와 유럽의 복지에 기여하는 아일랜드의 중앙은행으로, 과거 금융감독 기능 수행 및 금융위기 이후 조직 재통합을 거쳐 현재 유럽중앙은행제도 하에서 통화정책 결정 및 정부 은행 역할을 수행한다.
  • 아일랜드의 경제 - 아일랜드의 유로 주화
    아일랜드의 유로 주화는 앞면에 켈트 하프를, 뒷면에 액면별 다른 디자인을 사용하며, 2002년부터 발행되어 2015년부터 현금 결제 시 스웨덴식 반올림을 적용한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대한민국의 경제
    대한민국의 경제는 식민지 시대 이후 국가 주도 산업화와 수출 주도형 성장으로 고도 성장을 이루었으나, 외환 위기와 금융 위기, 저성장 등의 도전에 직면하여 새로운 성장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일본의 경제
    일본 경제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를 거쳐 2차 세계대전 후 고도성장을 이루며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나, 1990년대 이후 장기 불황과 저출산·고령화, 재정 악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천연자원 부족, 독특한 산업 구조, 간접 금융 중심 금융 시스템, 종신 고용과 연공서열 중심 기업 문화 등의 특징을 지닌 무역 및 기술 강국이다.
아일랜드의 경제
기본 정보
더블린 국제 금융 서비스 센터
더블린의 국제 금융 서비스 센터
통화유로 (EUR, €)
연도역년
가입 기구EU
WTO
OECD
경제 그룹선진 경제국
고소득 경제국
인구5,149,139명 (2022년 아일랜드 인구 조사)
경제 지표
GDP (명목)$5605억6600만 (2024년)
GDP 순위 (명목)25위 (2024년)
GDP (구매력 평가)$6919억400만 (2024년)
GDP 순위 (구매력 평가)41위 (2024년)
경제 성장률-5.5% (2023년)
-0.2% (2024년 예측)
2.3% (2025년 예측)
1인당 GDP (명목)$103,500 (2024년)
1인당 GDP 순위 (명목)3위 (2024년)
1인당 GDP (구매력 평가)$127,750 (2024년)
1인당 GDP 순위 (구매력 평가)3위 (2024년)
부패 인식 지수 (CPI)77/100점 (2023년) (11위)
산업별 GDP 구성농업: 0.9%
산업: 37.6%
서비스: 56.6%
(2023년 추정)
인플레이션율8.1% (2022년)
5.2% (2023년)
1.7% (2024년 예측)
빈곤율6.7% (2017년 지속적 빈곤) 2022년 빈곤선: 연간 €13,400
19.2% 빈곤 또는 사회적 배제 위험 (AROPE, 2023년)
지니 계수27.4 (2023년, Eurostat)
인간 개발 지수 (HDI)0.950 (2022년) (7위)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IHDI)0.886 (6위) (2022년)
노동 인구2,690,000명 (2023년)
고용률77.5% (2023년)
산업별 고용 구성농업: 5%
산업: 11%
서비스: 84%
(2015년 추정)
실업률4.2% (2024년 10월)
10.6% 청년 실업률 (2024년 10월)
평균 총 급여월 €4,002 (2023년 1분기)
평균 순 급여월 €3,086 (2023년 1분기)
주요 산업제약
화학 제품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식품
음료 및 양조
의료 기기
무역
수출 (상품)€2082억800만 (2022년)
수출 (서비스)€3372억8200만 (2022년)
주요 수출 품목화학 제품 및 관련 제품 64.24%
기계류 및 운송 장비 13.17%
기타 제조 품목 10.18%
식료품 및 살아있는 동물 7.11%
원자재별 분류 제품 1.57%
식용 불가능한 원료 (연료 제외) 1.05%
음료 및 담배 0.98%
광물 연료, 윤활유 및 관련 물질 0.86%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 지방 및 왁스 0.07%
(2022년)
주요 수출 대상국[[File:Increase2.svg|}|alt=}|link=|}]] 38.73%
[[File:Decrease2.svg|}|alt=}|link=|}]] 30.27%
[[File:Increase2.svg|}|alt=}|link=|}]] 12.11%
[[File:Decrease2.svg|}|alt=}|link=|}]] 8.45%
(북아일랜드 제외) [[File:Decrease2.svg|}|alt=}|link=|}]] 8.25%
[[File:Increase2.svg|}|alt=}|link=|}]] 6.83%
[[File:Decrease2.svg|}|alt=}|link=|}]] 6.62%
[[File:Increase2.svg|}|alt=}|link=|}]] 3.44%
[[File:Decrease2.svg|}|alt=}|link=|}]] 2.18%
(2022년)
수입 (상품)€1401억9900만 (2022년)
수입 (서비스)€3540억5100만 (2022년)
주요 수입 품목기계류 및 운송 장비 35.76%
화학 제품 및 관련 제품 27.38%
기타 제조 품목 10.53%
광물 연료, 윤활유 및 관련 물질 9.36%
식료품 및 살아있는 동물 6.67%
원자재별 분류 제품 6.4%
음료 및 담배 0.83%
식용 불가능한 원료 (연료 제외) 0.81%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 지방 및 왁스 0.41%
(2022년)
주요 수입 대상국[[File:Decrease2.svg|}|alt=}|link=|}]] 30.28%
(북아일랜드 제외) [[File:Increase2.svg|}|alt=}|link=|}]] 17.15%
[[File:Decrease2.svg|}|alt=}|link=|}]] 15.49%
[[File:Increase2.svg|}|alt=}|link=|}]] 10.37%
[[File:Decrease2.svg|}|alt=}|link=|}]] 8.69%
[[File:Increase2.svg|}|alt=}|link=|}]] 7.44%
[[File:Decrease2.svg|}|alt=}|link=|}]] 4.57%
[[File:Decrease2.svg|}|alt=}|link=|}]] 3.39%
[[File:Increase2.svg|}|alt=}|link=|}]] 2.26%
(2022년)
경상수지$170억 (2022년 추정)
외국인 직접 투자 (FDI)€1조3200억 (2022년 4분기)
해외: €1조1100억 (2022년 4분기)
총 외채€2조9540억 (2022년 6월)
순 국제 투자 포지션 (NIIP)−€6100억 (2022년 7월)
재정
국가 부채GDP의 44.7% (2022년)
€2248억 (2022년)
재정 수지€80억 흑자 (2022년)
GDP의 +1.6% (2022년)
세입€1155억600만
GDP의 22.98% (2022년)
지출€1074억7300만
GDP의 21.38% (2022년)
외환 보유고$129억500만 (2023년 추정)
신용 등급
Standard & Poor'sA+ (국내)
A+ (해외)
AAA (T&C 평가)
전망: 안정적
Moody'sA2
전망: 안정적
FitchAA-
전망: 안정적
ScopeAA
전망: 안정적
원조
유럽 구조 및 투자 기금2007-2013년: €9억
2014-2020년: €33억6000만

2. 역사

아일랜드의 경제는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규모가 작고, 무역 의존도가 높다. 독립 후 오랫동안 유럽 최빈국 중 하나였으나, 1990년대에 들어 급성장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경제 성장률은 10% 안팎을 기록하며 세계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과거 경제의 중심이었던 농업은 산업화로 인해 중요도가 감소했다. 현재는 공업이 GDP의 46%, 수출액의 80%, 고용의 29%를 담당한다.

2000년대 초반 아일랜드 경제의 성장은 수출뿐 아니라 국내 소비, 건설, 설비 투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경제 호조로 2000년대 초반 인플레이션율은 4~5%였으나, 2005년에는 2.3%로 하락했다. 주택 가격은 계속 상승했으며,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수입도 증가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금융 불안 등으로 경제 환경이 악화되면서 실업률이 다시 10%를 넘었고, 2011~2012년에는 15%에 육박했다.[247]

더블린은 세계 주요 도시 중 22번째로 물가가 높은 도시이다.[248] 아일랜드는 유럽 연합 내에서 룩셈부르크 다음으로 1인당 GDP가 높으며, 세계 4위 수준이다.

다음 표는 1980년부터 2007년까지의 주요 경제 지표를 보여준다.[187]

연도GDP1인당 GDPGDP1인당 GDPGDP 성장률인플레이션율실업률정부 부채
198025.37,390.321.46,252.22.9%18.3%n/an/a
198128.48,190.620.45,886.42.5%20.2%n/an/a
198230.68,733.921.36,078.11.5%17.2%n/an/a
198331.68,948.020.65,839.8
10.4%n/an/a
198433.89,500.219.95,591.83.2%8.6%n/an/a
198535.59,960.421.25,934.51.9%5.5%17.7%n/a
198636.410,202.328.57,993.20.4%3.0%18.1%n/a
198738.710,817.333.79,419.53.6%3.2%18.8%n/a
198841.211,586.136.910,365.33.0%2.2%18.4%n/a
198945.212,793.238.010,754.65.6%4.0%17.9%n/a
199050.614,310.448.213,644.87.7%3.4%17.2%n/a
199153.114,952.448.813,748.21.6%3.1%19.0%n/a
199256.315,712.254.915,331.93.6%3.2%16.3%n/a
199358.916,366.551.414,262.82.3%1.4%16.7%n/a
199463.717,643.155.815,455.45.9%2.4%15.1%n/a
199571.319,656.669.319,086.89.6%2.5%14.1%78.5%
199679.221,687.075.920,781.49.1%2.2%11.8%69.8%
199789.324,177.283.022,468.610.7%1.3%9.9%61.6%
199898.226,314.190.324,202.58.8%2.1%7.6%51.4%
1999110.129,164.899.026,233.710.5%2.4%5.9%46.6%
2000123.132,161.6100.326,186.39.4%5.3%4.4%36.4%
2001132.634,095.8109.328,120.15.3%4.0%4.2%33.6%
2002142.636,043.1128.532,482.15.9%4.7%4.7%30.9%
2003149.837,249.8164.640,940.13.0%4.0%4.9%29.8%
2004164.340,064.2194.347,389.36.8%2.3%4.8%28.1%
2005179.142,650.8212.050,476.55.7%2.2%4.6%26.1%
2006193.944,867.9232.253,738.85.0%2.7%4.8%23.6%
2007209.747,488.6257.658,139.54.7%2.9%5.0%23.5%


2. 1. 아일랜드 자유국 시대 (1922년 ~ 1950년대)

아일랜드와 영국의 1인당 GDP의 역사적 발전


1920년대부터 아일랜드는 높은 관세와 같은 무역 장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1930년대 영국과의 경제 전쟁 동안 수입 대체 정책을 펼쳤다.[76] 1932년 데 발레라가 정권을 잡자 경제 전쟁을 일으켰다. 경제 전쟁은 1938년까지 이어졌고, 영국의 보복 관세로 인해 영국에 대한 수출에 의존하던 아일랜드 경제에 타격을 주었다. 경제 전쟁이 해결되자 데 발레라의 피아나 파일 정권은 고관세 등 높은 무역 장벽을 마련하고 영국 공업 제품의 수입대체 정책을 실시했다.

1950년대에는 40만 명이 아일랜드에서 이민을 갔다.[76] 이는 1932년 이후의 "경제 민족주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증명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이 빠른 성장을 누리는 동안 아일랜드는 경제 침체를 겪었다.[76]

2. 2. 경제 개발과 개방 (1950년대 ~ 1970년대)

숀 리머스 집권 시기인 1959년, '개발 경제'라는 공식 문서를 통해 경제 정책 변화가 표명되었다. 이는 이전의 긴축 재정 및 보호 무역 대신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자유 무역을 촉진하는 방향이었다.[249]

1970년대 아일랜드는 인구가 15% 증가하고 국민 소득이 연 4% 증가하는 등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고용 또한 연 1%씩 증가했지만, 대부분 공공 부문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공공 부문 확대와 그에 따른 재정 지출 증가는 1980년대 재정 적자와 공적 채무 증가를 야기하며 경제 위기로 이어졌다.[249]

2. 3. 경제 위기와 구조 조정 (1970년대 ~ 1980년대)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아일랜드는 고용 증가, 공공 부문 확대, 그리고 이로 인한 재정 적자와 공공 부채 증가로 경제 위기를 겪었다. 특히 1970년대 말부터 오일 쇼크 등의 외부 요인과 더불어 확장적 재정 정책이 맞물리면서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

2008년, 아일랜드는 유럽 연합(EU)에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공식적으로 경기 침체에 들어간 첫 번째 국가였다.[89] 당시 아일랜드의 가계 부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가계 소득의 190%)[90]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는 은행 지원 비용으로 인해 아일랜드의 신용 등급을 "AA-"로 낮췄고, 이후 은행 자본 재조달 비용이 예상보다 높아지자 다시 "A"로 강등했다.[91][92][93]

글로벌 경기 침체는 아일랜드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2007년 4.7%였던 경제 성장률은 2008년 -1.7%, 2009년 -7.1%로 급락했다. 2010년 중반에는 잠시 회복세를 보였으나, 2분기에 다시 -1.2% 성장했고, 4분기에는 GDP가 1.6% 감소했다. 결국 2010년 GDP는 1% 감소하며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97]

2006년 더블린 샌디포드의 주택 건설 현장.


아일랜드 경제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아일랜드 부동산 거품이었다. 아일랜드 금융 기관들은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과도한 대출을 해줬고,[100]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부실 채권 문제가 심각해졌다.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과대 평가된 토지에 투기했고,[102] 고용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부동산 수요가 급감했다.[101]

은행들은 대출 만기가 돌아왔을 때 대출을 회수하면 더 큰 금융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은행들은 부동산 개발업자들의 파산을 우려하여 대출 조건을 면제해 주고 있었으며,[104] 일부 개발업자에게는 이자 지불을 위한 추가 현금을 대출해 주기도 했다.[100]

2008년 9월 30일, 아일랜드 정부는 은행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보증을 발표했다.[108] 그러나 정부의 보증에도 불구하고 은행 주가는 계속 하락했고, 2009년 1월 15일, 정부는 앵글로 아이리시 은행을 국유화했다.[110]

2010년 11월, 아일랜드 정부는 공공 재정을 정상화하고 경제 생산량의 3% 목표에 맞춰 적자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 회복 계획을 발표했다.[115] 이 계획에 따라 부가가치세 인상, 재산세 재도입, 수도 요금 도입 등이 예정되었다.[116][117] 또한 공공 부문 급여 삭감, 사회 복지 지급 감소 등 지출 삭감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중앙 통계청(아일랜드)은 아일랜드 정부 적자가 2010년 GDP의 32.5%에서 2013년 GDP의 5.7%로 감소했다고 보고했다.[118] 실업률도 2012년 2월 15.1%에서 2014년 12월 10.6%로 감소했다.[119]

2. 4. 켈트의 호랑이 (1995년 ~ 2007년)

R. F. 포스터는 경제 성장의 원인을 새로운 진취적인 정신과 인텔과 같은 미국 기업의 유입이 결합된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는 주요 요인으로 낮은 세금, 친기업적 규제 정책, 젊고 기술에 정통한 노동력을 꼽았다. 많은 다국적 기업들은 산업 개발청의 관대한 인센티브 덕분에 아일랜드에서 사업을 하기가 더 쉬워졌다. 또한 유럽 연합 가입은 이전에 영국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던 시장에 대한 수익성 있는 접근을 제공하고 아일랜드 경제에 막대한 보조금과 투자 자본을 투입하여 도움이 되었다.[77]

소비 지출, 건설, 기업 투자가 증가하면서 경제가 혜택을 받았다. 1987년 이후 경제 정책의 핵심 부분은 정부, 고용주 및 노동 조합 간의 자발적인 '임금 협정'인 사회적 파트너십이었으며, 이는 신조합주의 체제이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높은 경제 성장 기간은 호랑이 경제를 빗대어 켈트 호랑이라고 불렸다.[78]

GDP 성장률은 2001년 약 6%, 2004년 4% 이상, 2005년 4.7%로 비교적 견조하게 유지되었다. 높은 성장과 함께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에서 더블린의 물가는 다른 지역보다 상당히 높았다.[79]

2. 5. 경제 위기 (2008년 ~ 2013년)

글로벌 경기 침체는 아일랜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2007년 경제 성장률은 4.7%였지만, 2008년에는 -1.7%, 2009년에는 -7.1%로 하락했다.[89] 당시 아일랜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가계 소득의 190%)를 기록했다.[90] 2010년 8월,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 신용평가 기관은 은행 지원 비용으로 인해 아일랜드의 신용 등급을 "AA-"로 강등했는데, 이는 중기적으로 정부의 재정적 유연성을 약화시킬 것이었다.[91] 은행 자본 재조달 비용이 예상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는 아일랜드의 신용 등급을 다시 "A"로 강등했다.[92][93]

2010년 중반, 아일랜드는 2009년 4분기 0.3% 성장, 2010년 1분기 2.7% 성장을 기록하며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는 듯 보였다. 정부는 0.3%의 경제 확장을 예측했다.[94][95][96] 그러나 경제는 2분기에 -1.2%의 역성장을 경험했고,[96] 4분기에는 GDP가 1.6%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2010년 GDP는 1% 감소하여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97] 반면 아일랜드는 2010년 유로존에서 월별 산업 생산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9월에 7.9% 성장하여 8월에 비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에스토니아 (3.6%), 덴마크 (2.7%)가 그 뒤를 이었다.[98]

아일랜드 은행 경영진, 금융 규제 기관, 그리고 아일랜드 정부가 인정하지 않은 문제는[99] 지불 능력 문제였다. 지불 능력에 대한 의문은 아일랜드 부동산 거품의 국내 문제로 인해 발생했다. 아일랜드 금융 기관들은 대출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상당한 노출을 보였다.[100] 2008년에는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과잉 공급 상태에 있었고,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많은 물량이 팔리지 않았다. 과거에 많은 동유럽 이민자를 유치하고 부동산 수요를 뒷받침했던 고용 성장은 실업률 증가로 대체되었다.[101]

아일랜드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도시 개발 부지 및 그린필드 부지 등 과대 평가된 토지에 수십억 유로를 투기했다. 그들은 또한 2007년에 에이커당 평균 23600EUR의 가치를 가진 농지에 투기했는데,[102] 이는 다른 유럽 국가의 유사 토지 가치보다 몇 배나 높은 수준이다. 건설업자와 개발업자에 대한 대출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전체 은행 대출의 28%를 차지하거나, "''소매 은행의 모든 공적 예금의 대략적인 가치와 같다. 사실상, 아일랜드 은행 시스템은 모든 주주 자본을 가져다가, 예금자의 현금의 상당 부분을 더하여 건설업자와 부동산 투기꾼에게 넘겨주었다.....1989년 말 일본 거품이 붕괴되기 직전, 건설 및 부동산 개발은 은행 대출의 25%를 조금 넘는 수준까지 성장했다.''"[103]

아일랜드 은행들은 대출 만기가 도래했을 때 대출을 회수할 경우 아일랜드에서 더욱 심각한 금융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체계적 위험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대출에는 "코버넌트"라고 불리는 조건이 적용된다. 이러한 코버넌트는 많은 부동산 개발업자의 (불가피한) 파산을 유발할 것을 우려하여 면제되고 있으며[104], 은행은 "''일부 개발업자에게 이자 지불을 위해 추가 현금을 대출해 주고 있으며, 이는 그들이 은행에 의해 '부실 채권'으로 분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100] 더욱이 은행의 "손상"(부실 채권) 충당금은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다.[106][107] 이는 부동산 시장의 근본적인 실제 부정적 변화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2008년 9월 30일, 아일랜드 정부는 아일랜드 은행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보증을 선언했다. 납세자 기금으로 뒷받침되는 아일랜드 국가 보증은 "''모든 예금(소매, 상업, 기관 및 은행 간), 커버드 채권, 선순위 부채 및 기한부 후순위 부채''"를 포함한다.[108] 구제 금융에 대한 대가로 정부는 은행의 우선주 지분을 인수하지 않았으며(주주 가치를 희석시킴), 은행 최고 경영진의 급여 및 보너스 상한선을 설정하거나 이사회를 교체할 것을 요구하지도 않았다.[109]

정부의 은행 보증에도 불구하고, 은행의 주주 가치는 계속 하락했고 2009년 1월 15일, 정부는[110] 2007년 최고치의 2% 미만의 시가총액을 가진 앵글로 아이리시 은행을 국유화했다. 그 후, 다른 두 개의 대형 아일랜드 은행에 더 큰 압력이 가해졌고, 2009년 1월 19일에는 주가가 하루 만에 47%에서 50% 사이로 하락했다.[111]

2010년 11월, 아일랜드 정부는 공공 재정을 정상화하고 2015년까지 경제 생산량의 3% 목표에 맞춰 적자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 회복 계획을 발표했다.[115] 이 계획은 4년 동안 150억유로(공공 지출 삭감 100억유로, 세금 50억유로)의 예산 조정을 예상했다. 이는 2011년에 앞당겨졌으며, 총 60억유로의 조치가 시행되었다. 2015년까지 연간 30억유로의 추가 예산 조정이 시행되어 정부 적자를 GDP의 3% 미만으로 줄였다. 부가가치세는 2014년까지 23%로 인상될 것이다. 재산세는 2012년에 다시 도입되었다. 이는 2012년에는 모든 부동산에 대해 단일 요율로 부과되었고, 2013년부터는 부동산의 예상 시장 가치의 0.18% 수준으로 부과되었다. 국내 수도 요금은 2015년에 도입될 예정이다.[116][117] 지출 삭감에는 공공 부문 급여 수준 감소, 조기 퇴직 제도를 통한 공공 부문 직원 수 감축, 사회 복지 지급 감소, 건강 지출 감소 등이 포함되었다.

세금 증가와 정부 지출 감소의 결과로 중앙 통계청(아일랜드)은 아일랜드 정부 적자가 2010년 GDP의 32.5%(금융 부문에 대한 일회성 지원금으로 인해 증가한 수준)에서 2013년 GDP의 5.7%로 감소했다고 보고했다.[118] 또한 아일랜드의 실업률은 2012년 2월 15.1%에서 2014년 12월 10.6%로 감소했다.[119]

2. 6. 회복과 도전 (2014년 ~ 현재)

아일랜드의 경제 회복은 건설 부문 회복, 유럽 중앙 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 유로화 약세, 저유가 등에 힘입어 이루어졌다.[53] 그러나 이러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높은 청년 실업률, 주택 문제,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 등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외국계 다국적 기업들이 아일랜드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경제 통계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했다.[44]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일랜드 중앙은행은 2017년에 수정 국민총소득(GNI*)이라는 새로운 경제 지표를 도입했다.[39] 2015년 아일랜드의 GDP 성장률이 25%에 달했던 것은 애플이 자회사를 구조조정한 영향이 컸으며,[53] 이로 인해 '레프러콘 경제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미국 다국적 기업의 세금 제도로 인해 아일랜드 경제 데이터가 왜곡되면서, 켈트 호랑이 시대에 레버리지가 축적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고, 이는 아일랜드 소비자와 글로벌 자본 시장의 낙관론을 증폭시켰다.[51]

2017년 감세 및 고용 법안의 통과는 아일랜드 경제에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되었다.[57][186] 아일랜드 신용 거품의 안정화는 민간 부문 부채를 공공 부문으로 대량 이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67][68] 이로 인해 아일랜드는 2017년에 EU-28/OECD에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부채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69][70][71][72][73][74]

다음 표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의 주요 경제 지표를 보여준다.[187]

연도GDP1인당 GDPGDP1인당 GDPGDP 성장률인플레이션율실업률정부 부채
199571.319,656.669.319,086.89.6%2.5%14.1%78.5%
199679.221,687.075.920,781.49.1%2.2%11.8%69.8%
199789.324,177.283.022,468.610.7%1.3%9.9%61.6%
199898.226,314.190.324,202.58.8%2.1%7.6%51.4%
1999110.129,164.899.026,233.710.5%2.4%5.9%46.6%
2000123.132,161.6100.326,186.39.4%5.3%4.4%36.4%
2001132.634,095.8109.328,120.15.3%4.0%4.2%33.6%
2002142.636,043.1128.532,482.15.9%4.7%4.7%30.9%
2003149.837,249.8164.640,940.13.0%4.0%4.9%29.8%
2004164.340,064.2194.347,389.36.8%2.3%4.8%28.1%
2005179.142,650.8212.050,476.55.7%2.2%4.6%26.1%
2006193.944,867.9232.253,738.85.0%2.7%4.8%23.6%
2007209.747,488.6257.658,139.54.7%2.9%5.0%23.5%


3. 경제 구조 및 부문

아일랜드는 서비스업, 금융, 보험 및 부동산, 소매업 등 다양한 산업 부문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서비스업에 등록된 기업 수가 145,217개로 가장 많았으며, 금융, 보험 및 부동산 부문이 60,561개, 소매업 부문이 45,541개로 그 뒤를 이었다.[188]

아일랜드의 주요 산업은 다음과 같다:


  • 1차 산업: 농업, 임업, 광업, 어업을 포함하며, GDP의 약 5%와 고용의 8%를 차지한다.
  • 2차 산업 및 3차 산업: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켈트 호랑이라고 불릴 정도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낮은 세금, 친기업적 규제, 숙련된 노동력 등이 성장의 주요 요인이었다.
  • 항공기 임대 산업: 1000억유로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며, 전 세계 항공기의 약 22%를 관리하고 있다.
  • 주류 산업: 약 9만 2천 명을 고용하고 연간 20억유로를 경제에 기여한다.
  • 공학: 18,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연간 약 42억유로를 기여한다.
  • 금융 서비스 산업: 약 35,000명을 고용하고 연간 20억유로의 세금을 납부한다.
  • 소프트웨어 산업: 약 24,000명을 고용하고 경제에 160억유로를 기여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프트웨어 수출국이다.
  • 정보 통신 기술 (ICT): 37,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연간 350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한다.
  • 의료 기술 (MedTech): 약 25,000명을 고용하고 연간 94억유로의 수익을 창출한다.
  • 제약 산업: 약 5만 명을 고용하고 550억유로의 수출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은행업과 건설업 등이 아일랜드 경제의 주요 부문을 이루고 있다.

3. 1. 1차 산업

경제의 제1차 산업 (농업, 임업, 광업, 어업 포함)은 아일랜드 GDP의 약 5%, 아일랜드 고용의 8%를 차지한다. 주요 농업 자원은 중부 및 남부 지역의 넓고 비옥한 목초지이다. 19세기 말에는 섬의 대부분이 산림이 사라졌으나, 2005년에는 국가 조림 프로그램을 통해 약 9%가 산림으로 덮였다.[212] 그러나 아일랜드는 여전히 EU에서 산림이 가장 적은 국가 중 하나이며, 수입 목재에 크게 의존한다.[213]

한때 대구가 풍부했던 해안선은 과도한 어획으로 고통받았으며, 1995년 이후 어업은 양식업에 더 집중하고 있다. 민물 연어송어 개체수도 감소했지만, 더 잘 관리되고 있다.[214]

아일랜드는 EU에 아연을 대량 수출하며, 과 알루미나도 상당량 생산한다.[215] 이 외에도 석고, 석회석 매장량이 상당하며, 소량의 구리, , , 중정석, 백운석(Dolomite (rock))도 보유하고 있다.[216] 이탄 추출은 역사적으로 중요했지만, 효율적인 연료와 습지 환경 보호로 인해 경제적 중요성은 감소했다.[217] 천연가스 추출은 남부 및 서부 지역의 킨세일 가스전과 코리브 가스전에서 이루어진다.[218]

3. 1. 1. 농업

아일랜드 경제에서 농업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중부 및 남부 지역에는 비옥한 토지가 넓게 펼쳐져 있어 농업에 적합하다. 테가스크(Teagasc)에 따르면, 2016년 아일랜드 농식품 부문은 총 부가가치의 7%(139억유로)를 창출했으며, 국가 고용의 8.5%, 아일랜드 상품 수출의 9.8%를 차지했다.[209] 아일랜드의 농식품 수출에는 소, 쇠고기, 유제품 등이 포함되며,[210] 케리 그룹(Kerry Group), 글랜비아(Glanbia), 그린코어(Greencore), 오르누아(Ornua) 등 여러 아일랜드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211]

2019년 아일랜드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219]

농산물생산량 (톤)
보리1,400,000
595,000
감자382,000
귀리193,000



같은 해 아일랜드는 우유 82억 리터를 생산하여 세계 20위 생산국이 되었고, 돼지고기 30만 4천 톤, 닭고기 14만 1천 톤, 양고기 6만 6천 톤을 생산했다.[220]

캐슬아일랜드의 소 경매


아일랜드 하천에서는 연어송어 등이 수확되지만, 오랜 기간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다.[214]

도니골 주의 킬리베그스 항. 한때 아일랜드 유수의 어항이었으나, 대구를 중심으로 한 남획으로 어업이 쇠퇴하고 있다.

3. 1. 2. 어업



아일랜드는 한때 주요 어항을 보유했으나, 대구를 중심으로 한 남획으로 인해 어업이 쇠퇴하고 있다. 하천에서는 연어, 송어 등이 수확되지만, 오랜 기간 남획으로 인해 그 양이 감소하여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다.

3. 1. 3. 광업

아일랜드는 , 석회석, 석고, 아연 등의 광물 자원을 채굴하고 있다.[215][216] 이 외에도 구리, , 등이 소량 존재한다.[216] 타라 광산을 비롯한 주요 비철금속 매장지 발견이 있었다. 아연-납 광석은 리신 광산과 갈모이 광산에서 채굴되고 있다.[202] 아일랜드는 세계 7위의 아연 정광 생산국이자 12위의 납 정광 생산국이며, 유럽 최대의 아연 생산국이자 두 번째로 큰 납 생산국이다.[202]

섬의 남안 및 서안 해저에는 대규모 가스전이 존재한다.[218] 1976년 킨세일 헤드 가스전에서 처음 천연가스 생산이 시작되었고,[198] 현재는 코리브 가스전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218]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은 198.2억m3이다.[216]

3. 2. 2차 산업 및 3차 산업

아일랜드 GDP


아일랜드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호랑이 경제에 빗대어 켈트 호랑이라고 불렸다.[78] 역사학자 R. F. 포스터는 낮은 세금, 친기업적 규제 정책, 젊고 기술에 정통한 노동력 등을 성장의 원인으로 꼽았다. 유럽 연합 가입으로 영국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했던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졌고, 아일랜드 경제에 막대한 보조금과 투자 자본이 투입되었다.[77]

2000년대에도 GDP 성장률은 비교적 견조했으나, 높은 성장과 함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특히 더블린의 부동산 가격은 다른 지역보다 상당히 높았다.[79] 그러나 경기 침체 이후 부동산 가격은 하락했다. 1인당 GDP는 OECD 및 EU-27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였지만, 1인당 GNP는 OECD 평균보다 낮았다.[82]

긍정적인 경제 통계에도 불구하고 건설 부문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등 불균형이 존재했다. 주거용 부동산 시장 심리 하락은 건설에 과도하게 노출된 아일랜드 경제에 위협이 되었다.[84][85][86] 2000년 이후 경제 성장과 개선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인구의 빈곤 위험은 EU-15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82][87]

300px


아일랜드는 2008년 금융 위기와 관련하여 EU에서 공식적으로 경기 침체에 가장 먼저 진입한 국가였다.[89] 글로벌 경기 침체는 아일랜드 부동산 거품으로 인한 국내 문제와 겹쳐 아일랜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아일랜드 금융 기관들은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상당한 대출을 해 주었고, 부동산 거품 붕괴로 지불 능력 문제가 발생했다.[100]

2008년 9월 30일, 아일랜드 정부는 은행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보증을 선언했지만, 은행 주가는 계속 하락했다.[108] 2009년 1월, 정부는 앵글로 아이리시 은행을 국유화했다.[110]

2010년 11월, 아일랜드 정부는 공공 재정을 정상화하고 경제 생산량의 3% 목표에 맞춰 적자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국가 회복 계획을 발표했다.[115] 부가가치세 인상, 재산세 재도입, 국내 수도 요금 도입 등이 계획되었다.[116][117]

2013년 말, 아일랜드는 EU/ECB/IMF 구제 금융에서 탈출했다. 2014년에는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여 4.8% 성장했으며, 이는 유럽 연합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임을 나타냈다.[124]

아일랜드는 EU에서 GNI 대비 GDP 비율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


2016년 공식 통계는 2015년 경제 회복으로 GDP가 26.3%, GNP가 18.7% 성장했음을 나타냈지만, 이는 폴 크루그먼을 포함한 경제학자들에게 "레프러콘 경제학"이라며 조롱받았다.[160][161][162][163][164][165] 이는 일부 다국적 기업이 "무형 자산"을 아일랜드로 이전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167] 이에 아일랜드 중앙 은행은 새로운 지표인 "수정된 국민 총소득" (GNI*)를 만들었다.[39]

1980년부터 2021년까지의 주요 경제 지표는 아래 표와 같다 (2022년부터 2027년까지는 IMF 추정치).[187]

연도GDP1인당 GDPGDP1인당 GDPGDP 성장률인플레이션율실업률정부 부채
198025.37,390.321.46,252.22.9%18.3%n/an/a
198128.48,190.620.45,886.42.5%20.2%n/an/a
198230.68,733.921.36,078.11.5%17.2%n/an/a
198331.68,948.020.65,839.8
10.4%n/an/a
198433.89,500.219.95,591.83.2%8.6%n/an/a
198535.59,960.421.25,934.51.9%5.5%17.7%n/a
198636.410,202.328.57,993.20.4%3.0%18.1%n/a
198738.710,817.333.79,419.53.6%3.2%18.8%n/a
198841.211,586.136.910,365.33.0%2.2%18.4%n/a
198945.212,793.238.010,754.65.6%4.0%17.9%n/a
199050.614,310.448.213,644.87.7%3.4%17.2%n/a
199153.114,952.448.813,748.21.6%3.1%19.0%n/a
199256.315,712.254.915,331.93.6%3.2%16.3%n/a
199358.916,366.551.414,262.82.3%1.4%16.7%n/a
199463.717,643.155.815,455.45.9%2.4%15.1%n/a
199571.319,656.669.319,086.89.6%2.5%14.1%78.5%
199679.221,687.075.920,781.49.1%2.2%11.8%69.8%
199789.324,177.283.022,468.610.7%1.3%9.9%61.6%
199898.226,314.190.324,202.58.8%2.1%7.6%51.4%
1999110.129,164.899.026,233.710.5%2.4%5.9%46.6%
2000123.132,161.6100.326,186.39.4%5.3%4.4%36.4%
2001132.634,095.8109.328,120.15.3%4.0%4.2%33.6%
2002142.636,043.1128.532,482.15.9%4.7%4.7%30.9%
2003149.837,249.8164.640,940.13.0%4.0%4.9%29.8%
2004164.340,064.2194.347,389.36.8%2.3%4.8%28.1%
2005179.142,650.8212.050,476.55.7%2.2%4.6%26.1%
2006193.944,867.9232.253,738.85.0%2.7%4.8%23.6%
2007209.747,537.6270.561,748.44.7%2.9%5.0%23.9%
2008208.446,315.2276.961,534.1
3.1%6.8%42.6%
2009193.542,250.9223.448,769.7
1.7%12.7%62.8%
2010195.742,133.5221.547,766.7
1.6%14.7%91.4%
2011205.543,725.1238.951,089.32.8%3.2%15.4%115.7%
2012209.144,044.0235.849,961.00.2%1.2%15.4%122.8%
2013216.445,173.7243.951,231.31.4%1.5%13.4%119.6%
2014238.549,376.4275.457,359.68.5%0.2%11.1%103.6%
2015308.763,489.9333.768,884.525.0%0.0%9.9%78.1%
2016326.466,604.0345.870,819.94.0%0.0%8.0%72.8%
2017361.473,208.9385.178,154.98.4%0.3%6.7%68.4%
2018403.281,141.9426.385,836.39.1%0.7%5.8%63.5%
2019435.387,046.8418.683,162.95.6%0.9%5.0%58.8%
2020469.693,441.8425.984,173.75.9%0.5%5.6%57.2%
2021546.4107,595.5504.298,969.113.6%2.4%4.6%55.4%


3. 2. 1. 항공기 임대

아일랜드의 임대업에는 1,200명이 직접 고용되어 있으며, 아일랜드 임대인은 1000억유로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189][190] 이는 아일랜드가 전 세계 항공기의 약 22%를 관리하고, 전 세계 임대 항공기의 40%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일랜드는 기체 수 기준으로 상위 15개 임대업체 중 14개를 보유하고 있다.[189][190]

3. 2. 2. 주류 산업

아일랜드의 음료 산업은 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부문 중 하나로, 약 9만 2천 명을 고용하고 연간 20억유로를 경제에 기여한다.[281] 이 산업은 농업, 증류, 양조업을 지원하며, 다음과 같이 5개 분야로 나뉜다.

  • 맥주: 1,800명이 직접 고용되어 있고, 간접적으로 3만 5천 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282]
  • 사이다: 5,000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283]
  • 스피릿: 1만 4,700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284]
  • 위스키: 748명이 고용되어 있으며, 총 4억유로의 가치를 창출한다.[285]
  • 와인: 1,100명이 직접 고용되어 있다.[286]

3. 2. 3. 공학

다국적 엔지니어링 부문은 18,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며 연간 약 42억유로를 기여한다.[287] 여기에는 산업 제품 및 서비스, 항공우주, 자동차, 청정 기술 분야의 약 180개 회사가 포함된다.

3. 2. 4. 금융 서비스

금융 서비스 부문은 약 35,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연간 20억유로의 세금을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288] 아일랜드는 유럽에서 7번째로 큰 도매 금융 서비스 제공국이다.[288] 이들 기업 중 다수는 더블린의 국제 금융 서비스 센터(IFSC)에 위치하고 있다.

3. 2. 5. 소프트웨어

아일랜드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약 24,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경제에 160억유로를 기여하는 중요한 부문이다.[289] 아일랜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프트웨어 수출국이며, 애플,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 10대 기술 기업들이 아일랜드에 진출해 있다.[289] 이들 기업은 아일랜드의 낮은 법인세, 친기업적 규제 환경, 숙련된 노동력 등의 이점을 활용하고 있다. 아일랜드에는 900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어, 소프트웨어 산업은 아일랜드 경제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289]

3. 2. 6. 정보 통신 기술 (ICT)

아일랜드의 정보 통신 기술(ICT) 분야는 37,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며 연간 350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한다. ICT 상위 10개 기업이 아일랜드에 위치해 있으며, 총 200개 이상의 기업이 있다.[205] 이들 기업 중 다수는 실리콘 독스와 같은 개발 지구인 더블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여기에는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아마존, 이베이, 페이팔마이크로소프트가 포함되며, 이들 중 여러 기업이 아일랜드에 EMEA/유럽 및 중동 본사를 두고 있다. 애플, EMC, 존슨 컨트롤을 포함한 다른 기업들은 코크에서 유럽 본사를 운영한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약 24,000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경제에 160억유로를 기여한다. 아일랜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프트웨어 수출국이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한 세계 10대 기술 기업이 아일랜드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아일랜드에는 900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다.[208]

3. 2. 7. 의료 기술 (MedTech)

아일랜드의 의료 기술(MedTech) 분야는 약 25,000명을 고용하고 연간 94억유로의 수익을 창출하며, 이 분야에서 100개 이상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206]

3. 2. 8. 제약

아일랜드 제약 산업은 약 5만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550억유로의 수출을 담당한다.[207] 이들 기업 중 상당수는 코크주 리틀 아일랜드와 링가스키디에 기반을 두고 있다.

3. 2. 9. 건설



아일랜드의 건설 부문은 아일랜드 부동산 버블과 2008-2013년 아일랜드 은행 위기로 인해 큰 타격을 입어,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기간에 비해 경제 기여도가 감소했다.

아일랜드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도시 개발 부지 및 농지(그린필드 부지) 등 과대 평가된 토지에 수십억 유로를 투기했다.[102] 2007년에는 에이커당 평균 23600EUR (32000USD 또는 헥타르당 60000EUR)의 가치를 가진 농지에 투기했는데, 이는 다른 유럽 국가의 유사 토지 가치보다 몇 배나 높은 수준이었다. 건설업자와 개발업자에 대한 대출은 전체 은행 대출의 28%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103]

글로벌 경기 침체는 아일랜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동산 거품 붕괴와 함께 건설 부문의 침체를 야기했다. 2008년에는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과잉 공급 상태에 있었고,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많은 물량이 팔리지 않았다. 과거에 많은 동유럽 이민자를 유치하고 부동산 수요를 뒷받침했던 고용 성장은 실업률 증가로 대체되었다.[101]

3. 2. 10. 은행

AIB 은행, 뱅크 오브 아일랜드, 얼스터 뱅크가 아일랜드 은행 시스템을 지배하고 있다.[222] 아일랜드에는 은행의 대안을 제공하는 대규모 신용 조합 운동이 있으며, 60개 이상의 신용 기관이 설립되어 있다.[221] 더블린에는 아일랜드 증권 거래소(ISEQ)가 있지만, 규모가 작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런던 증권 거래소 또는 나스닥에도 상장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증권 거래소는 국경 간 펀드의 상장 거점으로서 선두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4. 조세 및 복지

아일랜드 경제 위기 동안, 아일랜드의 특정 조세 제도는 외국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완화되었다. 저세율 조세 제도는 거의 무세금에 가까워졌고, 제한되었던 제도들은 더 많이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제도는 아일랜드의 위기 이후 회복을 이끈 외국 자본을 유치했다. 또한 아일랜드가 기업 "조세 피난처" 순위에서 상승하고[173][174][175] 브라질에 의해 블랙리스트에 오르는 결과를 낳았다.[176] 2017년 주요 "역외 금융 센터" 연구는 아일랜드를 세계 5대 도관 OFC로 식별했다.[177]

이로 인해 아일랜드는 미국의 기업 조세 역외 이전의 가장 인기 있는 대상이 되었다.[178] 화이자와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앨러간이 1900억유로 규모의 역사상 가장 큰 기업 조세 역외 이전을 발표했을 때,[179] 이는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의 조세 역외 이전을 막도록 강요했고, 그 이후로는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180]

아일랜드는 미국의 기술 다국적 기업의 본거지가 되었다. 2014년까지 애플의 아일랜드 ASI 자회사는 연간 340억유로의 비과세 이익을 처리했다. 유럽 연합(EU)은 아일랜드에 "이중 아일랜드 조세 회피 기법"을 폐쇄하도록 강요했지만,[181] 이는 다른 방법으로 대체되었다.[182][183]

2017년까지, IDA 아일랜드는 다국적 기업(미국이 80% 차지)이[55] 아일랜드 재무부에 283억유로의 현금(법인세, 임금 및 자본 지출)을 기여했다고 추정했다.[5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외국 다국적 기업이 아일랜드 제조업에서 국내 부가가치의 80%와 고용의 47%를, 아일랜드 서비스업에서 국내 부가가치의 40%와 고용의 28%를 제공한다고 추정했다.[47] 또한 OECD는 외국 다국적 기업이 아일랜드 민간 부문 노동력의 4분의 1을 고용한다고 추정한다.[43]

그러나 미국과 EU는 아일랜드에서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 과도한 조세 회피를 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억제하려는 결의를 더욱 굳게 다졌다.[53][184] 국제 관계 센터를 통해 발표된 2018년 연구는 미국 기업의 조세 관행으로 인해 아일랜드의 무역 패턴이 NAFTA 국가와 EU 국가보다 더 일치한다고 시사했다.[185]

미국 2017년 감세 및 고용법은 아일랜드를 직접 염두에 두고 통과되었다.[60] 이 법은 미국을 "전 세계 과세" 시스템에서 현대적인 "영토 과세" 시스템으로 전환한다.[58] FDII 조세 제도는 미국에 기반을 둔 "지적 재산권" ("IP")에 13.125%의 저세율을 부여한다. GILTI 조세 제도는 아일랜드와 같이 해외에 기반을 둔 IP에 페널티를 부과하여 실효 세율을 FDII 세율 이상으로 끌어올린다. 전문가들은 이 법이 아일랜드의 "다국적 기업 조세 계획"을 무력화한다고 믿는다.[57][186][61]

EU 집행위원회의 2018년 "디지털세" 또한 아일랜드의 "다국적 기업 조세 계획"을 억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매출액에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아일랜드의 "다국적 기업 조세 계획"에 대한 "무시" 역할을 한다.[65][66] 이는 아일랜드 재정 자문 위원회 의장인 세이머스 코피에 의해 "브렉시트보다 아일랜드에 더 심각한 위협"으로 묘사되었다.[64]

1975년부터 2005년까지 세수는 GDP의 약 30%에서 변동했다.

4. 1. 복지 혜택

2007년 12월 기준 아일랜드의 4가지 가족 유형(한 사람, 한부모, 자녀가 없는 외벌이 부부)에 걸친 장기실업자의 순실업급여는 OECD 국가 중 덴마크, 스위스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아이슬란드와 공동).[290] 2019년 3월 기준으로 1인당 구직자 수당 또는 실업 급여는 주당 203EUR이다. 아일랜드의 노령 연금은 상대적으로 후한 편으로, 주 연금(기부금)의 최대 주당 요율은 66세에서 80세 사이의 단일 연금 수급자에 대해 248.3유로이다. 주 연금(비기여금)의 최대 주당 요율은 66세에서 80세 사이의 단일 연금 수급자의 경우 237EUR이다.[291]

4. 2. 부의 분배 및 과세

상대적 빈곤 위험에 처한 인구의 비율은 2004년에 21%로 유럽 연합에서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였다.[292] 아일랜드의 지니 계수에 따른 소득 분배 불평등 지수는 2000년에 30.4로 OECD 평균 31보다 약간 낮았다.[293] 1990년대와 2006년 말까지 지속적으로 주거용 부동산 가치가 상승한 것은 아일랜드의 개인 자산 증가의 주요 요인이었으며, 2006년 아일랜드는 개인 자산에서 일본 다음으로 2위를 기록했다.[294] 그러나 2007년 초부터 주거용 부동산 가치와 주식은 크게 하락했고 개인 재산의 큰 감소가 예상된다.[295]

1975년부터 2005년까지 세수는 GDP의 약 30%에서 변동했다.

5. 통화

2002년 1월 유로 지폐와 동전이 도입되기 전까지 아일랜드는 아일랜드 파운드를 사용했다.[296] 1999년 1월 아일랜드는 유럽 연합 회원국 중 하나로 유럽 단일 통화인 유로를 출범시켰다.[229] 유로 지폐는 5유로, 10유로, 20유로, 50유로, 100유로, 200유로 지폐로 발행되며 유럽 전역에서 사용되는 공통 디자인을 공유하지만, 아일랜드는 유로존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유로 동전의 한 면에 고유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296] 아일랜드 정부는 모든 아일랜드 동전 액면에 대해 단일 국가 디자인을 결정했는데, 여기에는 발행 연도와 아일랜드어로 "아일랜드"를 뜻하는 단어 에이레(Éire)가 새겨진 켈트 하프가 포함된다.[229]

6. 인프라

아일랜드의 사회 기반 시설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아일랜드섬 동쪽 해안은 도로망이 발달했지만, 다른 지역은 도로가 미비한 곳이 많다. 철도와 도로망은 더블린을 중심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반국영 회사인 아일랜드 철도(Iarnród Éireann)가 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아일랜드에는 더블린 공항, 섀넌 공항, 코크 국제공항을 포함하여 36개의 공항이 있다. 국제선은 주로 이 세 공항을 중심으로 운항한다. 주요 항구는 로스리어 항, 리머릭 항, 더블린 항, 코크 항, 워터포드 항이다.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에는 정기 페리가 운항하고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개선이 진행 중이며, 2004년 기준 전체 가정과 기업의 절반이 광대역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전화 시장에는 3, O2 아일랜드, 메테오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보다폰 아일랜드의 4개 프로바이더가 있다. 전기는 전력 공급 공사(Electricity Supply Board)가 운영하고 있으며, 가스 네트워크는 확대되는 추세이다.

6. 1. 도로

아일랜드섬 동쪽 해안은 남북으로 뻗은 M1 고속도로와 우회로, 여러 차선을 가진 수송용 도로 등 도로망이 발달해 있다. 그러나 국내 다른 지역은 근대 산업에 필요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도로가 많다.

아일랜드의 전체 도로망은 더블린을 중심으로 다른 대도시로 뻗어 있다. 더블린을 통과하지 않는 주요 간선도로는 코크에서 리머릭, 골웨이, 슬라이고를 거쳐 도니골까지 이어진다. 현재 정부 계획에 따라 도로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더블린 도시권에서는 인구와 자가용차 소유율의 폭발적인 증가에 도로 정비가 따라가지 못해, 대부분의 간선도로에서 아침과 저녁의 교통 체증이 만성화되고 있다. 특히 아일랜드 서부에서 더블린으로 들어오는 도로들과 순환 도로인 M50 도로의 교차 지점에서는 교통 마비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현재 다양한 개선 대책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만성적인 교통 체증의 원인으로는 대중교통 인프라가 거의 정시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버스밖에 없다는 점과, 이에 따른 자가용차를 이용한 통근 비율이 다른 유럽의 대도시에 비해 매우 높다는 점이 꼽힌다.

더블린 주변에는 경전철 (루아스), 더블린 포트 터널, M50 고속도로, 더블린 공항, 통근 철도, 교외 철도 (DART)가 있다.

6. 2. 철도

아일랜드의 철도는 반국영 회사인 아일랜드 철도(Iarnród Éireann)가 운영하고 있으며, 9개의 주요 노선 및 DART로 대표되는 지역 통근 철도로 구성된다. 지주 회사인 CIÉ (Córas Iompair Éireann)는 화물 수송도 취급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신규 영업이 시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몇몇 도시에서는 항만으로의 직접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2003년에 슬라이고 항의 철도 설비가 철거되는 등 이용은 감소 추세에 있다. 이는 철도의 수송 능력이 낮고, 지연 및 혼잡이 일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방에는 이용자 수가 감소하여 경영이 위태로운 노선도 존재한다. 1990년대부터 지속된 경제 성장에 힘입어, 백 년 전의 시설을 아직 사용하고 있던 신호 시스템 등 일부 설비의 갱신이 진행되고 있다.

6. 3. 공항

아일랜드에는 더블린 공항, 섀넌 공항, 코크 국제공항을 비롯한 36개의 공항이 있다. 국제선은 주로 이 세 공항을 중심으로 운항한다. 주요 항공사로는 에어 링거스, 라이언에어, 에어 아란, 시티 제트 등이 있다.

6. 4. 항만

아일랜드의 주요 항구로는 로스리어 항, 리머릭 항, 더블린 항, 코크 항, 워터포드 항이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에는 정기 페리가 운항하고 있으며, 매일 많은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6. 5. 통신

2004년에는 전체 가정과 기업의 절반이 광대역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전체 지역의 15%에 해당한다. 다만, 비용이 비교적 고액이어서 이용은 활발하지 않았다. 이용 범위는 전화망의 설비 개선으로 극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전화망의 75%는 회선이 광대역 통신을 지원하지 않으며, 과거 아일랜드의 전화·통신을 지배했던 Eircom은 너무 오래된 설비의 악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휴대 전화 시장에는 3, O2 아일랜드, 메테오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보다폰 아일랜드의 4개 프로바이더가 존재한다.

6. 6. 에너지

아일랜드는 다른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화석 연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1차 에너지원의 98%는 석탄, 석유, 이탄, 천연 가스를 연소시켜 생산된다.[259] 이러한 화석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국제 유가 변동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보드 가스(Bord Gáis)는 천연 가스의 공급 및 유통을 담당하며, 천연 가스는 1976년 킨세일 헤드 가스전에서 처음 육지로 수송되었다. 피트 소비로 인한 발전량은 1990년과 2004년 사이에 전체 발전량의 18.8%에서 6.1%로 감소했다.[198] 지속 가능한 에너지 아일랜드의 2006년 예측에 따르면, 석유는 더 이상 발전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천연 가스가 전체 점유율의 71.3%로 지배적일 것이고, 석탄이 9.2%, 재생 에너지가 시장의 8.2%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198] 새롭거나 잠재적인 자원으로는 코리브 가스전과 섀넌 액화 천연 가스 터미널이 있다.[199]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는 에어 트리 시티 및 히베르니아 풍력 에너지(Electricity Supply Board의 자회사) 등이 풍력 발전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3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였다. 추가적인 풍력 발전 시설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2010년까지 전체 공급량의 10%를 풍력 발전을 통해 충당하겠다는 EU의 계획을 초과할 전망이다. 섀넌 강, 리피 강, 리 강 등에는 수력 발전소가, 코크 및 더블린 주변에는 지하 가스를 이용한 발전소가 존재한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아일랜드는 풍력 자원의 수출국이 될 예정이다.[260] 그러나 에너지 문제 전문가인 Garrad Hassan은 아일랜드와 기상 조건이 비슷한 영국에서도 풍력 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풍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 수출은 그다지 진전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전력 임시 저장 기술의 발전, 풍력 발전의 안정화 등으로 인해 향후에는 전체의 13.2%의 전력을 풍력 발전을 통해 충당할 예정이다.

아일랜드는 에너지 전환 이후 지정학적 이익 및 손실 지수("GeGaLo 지수")에서 156개 국가 중 12위를 차지하여, 재생 에너지로의 세계적인 전환으로부터 지정학적으로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는 국가 그룹 중 하나이다.[200]

7. 국제 관계

아일랜드는 유럽 국가에 비해 경제 규모가 작아 외국과의 무역에 크게 의존한다. 수출은 아일랜드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계에서 의약품, 의료 기기, 소프트웨어 관련 상품 및 서비스의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이다.[201] 언스트 & 영(Ernst and Young)과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은 2011년 1월 ''2010년 세계화 지수''에서 아일랜드를 홍콩 다음으로 2위에 올렸다.[203]

아일랜드는 타라 광산을 비롯한 중요한 비철금속 매장지 발견으로, 현재 세계 7위의 아연 정광 생산국이자 12위의 납 정광 생산국이다. 리신과 갈모이에서 아연-납 광석을 채굴하고 있으며, 유럽 최대 아연 생산국이자 두 번째로 큰 납 생산국이다.[202]

2000년대 초반 아일랜드 경제는 수출, 국내 소비, 건설, 설비 투자 등에 힘입어 높은 성장을 보였으나, 2000년대 후반 이후 금융 불안 등으로 경제 환경이 악화되어 실업률이 증가했다.[247]

7. 1. 미국

2003년 아일랜드와 미국의 무역액은 전년 대비 40억 달러 증가한 330억 달러를 기록했다.[261] 이 중 대미 수출액은 1997년 이후 5배 증가한 257억 달러, 수입액은 10억 달러 증가한 77억 달러로, 150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261] 주요 수입품은 전기 제품, 컴퓨터, 주변기기, 의약품 등이며, 수출품은 알코올 음료, 화학 제품, 전기 기계류, 섬유, 의류, 유리 제품 등이다.[261]

1980년대부터 미국 기업들의 아일랜드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FDI)는 꾸준히 증가하여 아일랜드의 산업 및 고용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261] 인텔, , IBM 등이 아일랜드에 주요 투자를 진행한 대표적인 기업들이다.[261] 2005년에는 600개 이상의 미국 기업이 아일랜드에서 활동하며 10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추정된다.[261] 아일랜드 정부는 높은 교육 수준과 숙련된 노동력, 영어 사용 환경,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등의 이점을 활용하고, 자본 보조 및 세금 우대 정책 등 다양한 유인책을 통해 미국 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261]

2017년 감세 및 고용 법안의 통과는 아일랜드 경제에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57][186] 이 법안의 일부 조항들은 아일랜드의 다국적 기업 세금 제도를 겨냥하고 있는데, 특히 현대적인 "영토세" 시스템으로의 전환,[58][59] 지적 재산에 대한 낮은 FDII 세금 도입, 그리고 대 아일랜드 GILTI 세금 제도가 그 예이다.[60][61]

7. 2. EU

1973년 유럽 연합(EU) 가입 이후, 아일랜드는 유럽과의 경제적 연계를 심화시켰다.[77] 현재 아일랜드는 경제 통화 동맹의 회원국이며 유로를 통화로 사용하고 있다. 많은 미국 기업들이 유럽 본사를 아일랜드에 두고 있으며, 주요 교역 상대국은 대부분 EU 국가들이지만, 영국과의 무역량이 가장 크다.

EU로부터 농업 분야 보조금과 도로 건설 예산이 지원되고 있다.[77] 아일랜드는 EU 내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국가이지만, EU 보조금으로부터 큰 혜택을 받고 있다. EU 내 자유 노동권에 따라 라트비아, 폴란드, 에스토니아 등 EU 신규 가입국으로부터 많은 노동자들이 아일랜드로 이주하고 있다.[77]

IT 버블 시대부터 유입된 외자는 아일랜드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Economies in the World Economic Outlook (WEO)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1-01
[2]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World Bank 2024-11-01
[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22 - Summary Results https://www.cso.ie/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2023-05-30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31
[5]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https://www.transpar[...] 2024-01-30
[6] 웹사이트 Ireland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01
[7] 웹사이트 Compare your income - Perception of income inequality in OECD countries https://www.comparey[...]
[8] 웹사이트 Poverty & Health https://www.cso.ie/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2020-01-12
[9] 웹사이트 Persons at risk of poverty or social exclusion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09-22
[10]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by age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09-22
[11]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s://hdr.undp.org[...] 'Human Development Report|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9-22
[12] 웹사이트 Employment and activity by sex and age - annual data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11-01
[13] 웹사이트 Employment and activity by sex and age - annual data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11-01
[14] 웹사이트 Unemployment by sex and age - monthly data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11-08
[15] 웹사이트 Unemployment by sex and age - monthly data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11-08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counts Q4 2022 https://www.cso.ie/e[...] cso.ie 2023-03-03
[17] 웹사이트 Goods Exports and Imports December 2022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Cso.ie 2023-02-15
[18]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counts Q1 2022 Final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s://www.cso.ie/e[...] 2022-07-15
[1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counts Q4 2022 https://www.cso.ie/e[...] cso.ie 2023-03-03
[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counts Q2 2022 https://www.cso.ie/e[...] cso.ie 2022-09-02
[21] 웹사이트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 Annual 2017 to 2022 https://www.cso.ie/e[...] cso.ie 2023-04-20
[22] 웹사이트 Standard & Poor's raises Ireland's credit rating to A+ http://www.rte.ie/ne[...] 2015-06-05
[23] 웹사이트 Fitch restores A grade to Irish economy http://www.ntma.ie/b[...] Treasury Management Agency 2016-03-03
[24] 뉴스 Scope upgrades Ireland’s long-term credit ratings to AA and changes the Outlook to Stable https://www.scoperat[...] Scope Ratings 2024-08-24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ec.europa.eu/[...] 2017-12-25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ec.europa.eu[...] 2017-12-25
[27] 웹사이트 'Country Rankings: World & Global Economy Rankings on Economic Freedom' https://www.heritage[...] 2022-11-12
[28] 뉴스 Ireland named best country for high-value FDI for sixth year in a row https://www.irishtim[...] 2017-08-31
[29]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 GDP per capita https://www.imf.org/[...] 2020-10
[30] 웹사이트 PPP (current international $)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7-07
[31] 논문 Do Social-Welfare Policies Reduce Poverty? A Cross-National Assessment http://www.lisdatace[...]
[32] 논문 Determinants of Relative Poverty in Advanced Capitalist Democracies
[33] 웹사이트 Social Expenditure – Aggregated data https://www.oecd.org[...]
[34] 뉴스 Ireland GDP – real growth rate http://www.indexmund[...] 2012-04-22
[35] 웹사이트 Quarterly National Accounts -Quarter 1 2012 http://www.cso.ie/en[...] CSO 2012-07-12
[36] 웹사이트 Quarterly National Accounts -Quarter 1 2013 http://www.cso.ie/en[...] CSO 2013-06-27
[37] 뉴스 European Economic Forecast Spring 2013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3-05-03
[38] 뉴스 'Leprechaun Economics' Earn Ireland Ridicule, $443 Million Bill https://www.bloomber[...] 2016-07-13
[39] 웹사이트 Leprechaun-proofing economic data https://www.rte.ie/n[...] RTE News 2017-02-04
[40] 뉴스 CSO paints a very different picture of Irish economy with new measure https://www.irishtim[...] 2017-07-15
[41] 뉴스 New economic Leprechaun on loose as rate of growth plunges https://www.independ[...] 2017-07-15
[42] 뉴스 Ireland's Top 1000 Companies http://www.top1000.i[...] 2018-01-01
[43] 웹사이트 IRELAND Trade and Statistical Note 2017 http://www.oecd.org/[...] OECD 2017-01-01
[44] 웹사이트 20 multinationals paid half of all Corporation tax paid in 2016 https://www.rte.ie/n[...] RTE News 2017-06-21
[45] 웹사이트 Most of Ireland's huge corporate tax haul last year came from foreign firms https://fora.ie/mult[...] sunday Business Post FORA 2016-05-14
[46] 웹사이트 Quarterly Bulletin Comment (page 7) https://www.centralb[...] Central Bank of Ireland 2017-04-01
[47] 웹사이트 CRISIS RECOVERY IN A COUNTRY WITH A HIGH PRESENCE OF FOREIGN OWNED COMPANIES https://www.socialeu[...] IMK Institute, Berlin 2017-01-01
[48] 웹사이트 OECD Ireland Survey 2018 (Page 34 Debt Metrics) http://www.finance.g[...] OECD 2018-03-01
[49] 웹사이트 Globalisation at work in statistics — Questions arising from the 'Irish case' http://www.cso.ie/en[...] EuroStat 2017-12-01
[50] 웹사이트 Irish workers now ranked as most productive in world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9-02-05
[51] 뉴스 Irish Banks continue to grow deposits as loan books shrink https://www.irishexa[...] 2012-12-01
[52] 웹사이트 IRELAND FINANCIAL SYSTEM STABILITY ASSESSMENT 2016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6-07-01
[53] 뉴스 Europe points finger at Ireland over tax avoidance https://www.irishtim[...] 2018-03-07
[54] 웹사이트 Report of the Economic Statistics Review Group http://www.cso.ie/en[...] Central Statistics Office 2017-02-04
[55] 웹사이트 Winning FDI 2015-2019 Strategy https://www.idairela[...] IDA Ireland 2015-03-01
[56] 웹사이트 IDA Ireland Competitiveness https://www.idairela[...] IDA Ireland 2018-03-01
[57] 뉴스 Trump's US tax reform a significant challenge for Ireland https://www.irishtim[...] 2017-11-30
[58] 웹사이트 How Tax Reform solved UK inversions https://taxfoundatio[...] Tax Foundation 2014-10-14
[59] 웹사이트 A Territorial Tax System Would Create Jobs and Raise Wages for U.S. Workers https://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13-09-12
[60] 뉴스 Donald Trump singles out Ireland in tax speech https://www.irishtim[...] 2017-11-29
[61] 간행물 Breaking Down the New U.S. Corporate Tax Law https://hbr.org/idea[...] 2017-12-26
[62] 웹사이트 MEPs approve new EU corporate tax plan which embraces "digital presence" http://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18-03-15
[63] 웹사이트 What the EU's new taxes on the tech giants mean - and how they would hurt Ireland http://www.thejourna[...] thejournal.ie 2018-03-24
[64] 뉴스 Shake-up of EU tax rules a 'more serious threat' to Ireland than Brexit https://www.independ[...] 2017-09-14
[65] 뉴스 Why Ireland faces a fight on the corporate tax front https://www.irishtim[...] 2018-03-14
[66] 뉴스 EU digital levy could hit tech FDI and tax revenue here https://www.independ[...] 2018-03-21
[67] 웹사이트 Irish government debt four times pre-crisis level, NTMA says https://www.ft.com/c[...] 2017-07-10
[68] 웹사이트 42% of Europe's banking crisis paid by Ireland https://www.irishexa[...] 2013-01-16
[69] 뉴스 Net National debt now €44000 per head, 2nd highest in the World https://www.independ[...] 2017-07-07
[70] 뉴스 Who owes more money - the Irish or the Greeks? https://www.irishtim[...] 2015-06-04
[71] 뉴스 Why do the Irish still owe more than the Greeks? https://www.irishtim[...] 2017-03-07
[72] 뉴스 Ireland's colossal level of indebtedness leaves any new government with precious little room for manoeuvre https://www.independ[...] 2016-04-16
[73] 웹사이트 Irish public debt levels 4th highest in EU28 June 2017 FAR Slide 7 http://www.fiscalcou[...] Irish Fiscal Advisory Council 2017-06
[74] 뉴스 Irish household debt still amongst the highest in Europe https://www.irishtim[...] 2017-09-11
[75] 웹사이트 Taxations And savings in Ireland http://www.tcd.ie/Ec[...] Trinity College, Dublin null
[76] 웹사이트 How Ireland became the Celtic Tiger http://www.heritage.[...] Sean Dorgan, the chief executive of IDA. 2006-06-23
[77] 서적 Luck and the Irish: A Brief History of Change 1970-2000 2007
[78] 간행물 Ireland Wankel, C. (ed.) Encyclopedia of Business in Today's World, California, USA 2009
[79] 웹사이트 Consumer Prices Bi-annual Average Price Analysis Dublin and Outside Dublin: 1 May 2006 http://www.finfacts.[...]
[80] 뉴스 Inflation falls to 4.4pc http://www.independe[...] 2008-08-07
[81] 웹사이트 Consumer Price Index July 2008 (Dublin & Cork, 7 August 2008 http://www.cso.ie/re[...] Central Statistics Office
[82] 웹사이트 Annual Competitiveness Report 2008, Volume One: Benchmarking Ireland's Performance http://www.forfas.ie[...] NCC
[83] 뉴스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quality-of-life index http://www.economist[...]
[84] 웹사이트 Economic Survey of Ireland 2006: Keeping public finances on track http://www.oecd.org/[...] OECD
[85] 웹사이트 House slowdown sharper than expected http://www.rte.ie/ne[...] 2007-08-03
[86] 웹사이트 Latest Report: Latest edition of permanent tsb / ESRI House price index – May 2007 http://www.permanent[...] Permanent TSB, ESRI
[87] 웹사이트 EU Survey on Income and Living Conditions (EU-SILC) http://www.cso.ie/re[...]
[88] 웹사이트 Figure 3. Irish yield curve https://www.research[...]
[89] 웹사이트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http://www.cso.i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2004-11-09
[90] 뉴스 Irish banks may need life-support as property prices crash https://www.telegrap[...] 2008-03-13
[91] 웹사이트 Ireland's credit rating downgraded http://www.rte.ie/ne[...] RTÉ.ie 2010-08-25
[92] 웹사이트 Ireland's credit rating downgraded https://www.irishtim[...] irishtimes.ie 2010-11-24
[93] 웹사이트 Ireland's credit rating downgraded http://www.standarda[...] standardandpoors.com 2010-11-23
[94] 뉴스 Ireland out of recession as exports jump https://www.independ[...] 2010-07-01
[95] 뉴스 Ireland out of recession but needs faster growth http://www.businessd[...] 2010-07-01
[96] 뉴스 Irish economy contracts by 1.2% https://www.bbc.co.u[...] 2010-09-23
[97] 뉴스 Shrinking Irish economy heightens debt risk http://www.businessd[...] 2011-03-24
[98] 웹사이트 New Eurostat website - Eurostat – Industrial production down by 0.9% in euro area and Ireland will exit its bail out program in December 2013 http://epp.eurostat.[...] epp.eurostat.ec.europa.eu
[99] 뉴스 Irish finmin sees bank liquidity, not solvency issue https://www.reuters.[...] 2008-10-01
[100] 뉴스 Top developers see asset values dive two-thirds http://www.independe[...] 2008-10-12
[101] 웹사이트 Unemployment rising at record rate http://www.rte.ie/ne[...] 2008-10-01
[102] 웹사이트 Irish Agricultural Land Research http://www.savills.i[...] Savills Hamilton Osbourne King 2008-05
[103] 웹사이트 Just How Sound is the Irish Banking System? http://www.ucd.ie/ec[...]
[104] 뉴스 New waive of Irish banking http://www.tribune.i[...] 2008-08-31
[105] 뉴스 Banks call in leading developers ahead of property write-downs http://www.tribune.i[...] 2008-10-12
[106] 웹사이트 AIB Half-Yearly Financial Report 2008 http://www.aibgroup.[...] Allied Irish Banks 2008-07-30
[107] 웹사이트 Reports and Accounts for the year ended 31 March 2008 http://online.hemsco[...] Bank of Ireland 2008-06-10
[108] 웹사이트 Government Decision to Safeguard Irish Banking System http://www.taoiseach[...] Government of Ireland, Department of the Taoiseach 2008-09-30
[109] 뉴스 Seven Deadly Sins... (of omission) http://www.tribune.i[...] 2008-10-05
[110] 웹사이트 Anglo Irish directors step down, bank downgraded https://www.irishtim[...] Irishtimes.com 2009-01-19
[111] 웹사이트 Bank shares lose half their value in market 'carnage' https://www.irishtim[...] Irishtimes.com 2009-01-01
[112] 뉴스 State mortgage plan for first-time buyers http://www.independe[...] 2008-10-11
[113] 뉴스 Another traumatic day for investors in Irish banks https://www.irishtim[...] 2008-10-07
[114] 뉴스 NIB figures hint at depth of bad debt problems http://www.tribune.i[...] 2008-10-12
[115] 웹사이트 Extra year for Ireland under €85 billion plan http://www.rte.ie/ne[...] 2010-11-28
[116] 웹사이트 Govt four-year plan unveiled - As it happened - RTÉ News http://www.rte.ie/ne[...] rte.ie 2010-11-24
[117] 웹사이트 Budget adjustment for 2011 to total €6bn - RTÉ News http://www.rte.ie/ne[...] rte.ie 2010-11-04
[118] 웹사이트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October 2014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www.cso.ie/en[...] cso.ie 2014-10-14
[119] 웹사이트 Live Register December 2014 - CSO - Central Statistics Office http://www.cso.ie/en[...] cso.ie 2015-01-07
[120] 뉴스 Kenny, Gilmore and Bruton on hand for job actions plan launch http://www.irelandne[...] Ireland News. Net
[121] 뉴스 Soapbox... Is the boom really back? ...and Is the so-called 'Celtic Phoenix' all it's cracked up to be? http://www.independe[...] 2014-12-19
[122] 웹사이트 Rise of the Celtic Phoenix? http://www.shelflife[...] Shelflife Magazine 2014-09-16
[123] 뉴스 Ireland is a spending nation once again as Celtic Phoenix rises http://www.independe[...] 2014-08-24
[124] 웹사이트 GDP growth of 4.8% makes Ireland fastest growing EU economy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03-12
[125] 뉴스 Irish economic growth outpacing rest of Europe, says Ibec https://www.irishtim[...] 2015-04-13
[126] 뉴스 Rise of new orders for 'battered' Irish construction sector indicates recovery http://www.independe[...] 2014-03-10
[127] 뉴스 Strong growth sees national debt fall to 109% of GDP https://www.irishtim[...] 2015-04-20
[128] 웹사이트 Unemployment steady at 10% in April - CSO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04-29
[129] 뉴스 Ireland tops the European poll for reducing unemployment rates https://www.irishtim[...] 2015-04-30
[130] 웹사이트 Population and Migration Estimates http://www.cso.ie/en[...] Central Statistics Office 2014-08-26
[131] 뉴스 Emigration of Irish nationals falls 20% in year to April https://www.irishtim[...] 2014-08-26
[132] 뉴스 Property prices nationally up 15 percent in 12 months https://www.irishtim[...] 2014-09-24
[133] 웹사이트 Dublin property price growth fell below national average in first three months of 2015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04-07
[134] 뉴스 Dublin city social housing list tops 20,000 https://www.irishtim[...] 2015-05-25
[135] 웹사이트 37,000 mortgages in arrears of over 720 days http://www.rte.ie/ne[...] 2015-05-27
[136] 웹사이트 Budget Key Points http://www.rte.ie/ne[...] RTÉ News 2014-10-14
[137] 웹사이트 Budget 2015: Give and take http://www.independe[...] 2014-10-15
[138] 웹사이트 Budget 2015: as it happened http://www.rte.ie/ne[...] 2014-10-14
[139] 웹사이트 Noonan denies budget framed for election http://www.irishexam[...] 2014-10-14
[140] 웹사이트 Budget 2015 http://liveblog.iris[...] 2014-10-14
[141] 웹사이트 Expansionary budgets until 2020 are possible - Spring Economic Statement http://www.rte.ie/ne[...] RTÉ News 2015-04-28
[142] 뉴스 Spring statement: the main points https://www.irishtim[...] 2015-04-28
[143] 웹사이트 Spring Economic Statement Speech by the Minister for Finance http://www.finance.g[...] Department of Finance 2015-04-28
[144] 뉴스 German Finance Minister Wolfgang Schaeuble: 'Germany jealous of Irish growth figures' http://www.independe[...] 2014-10-31
[145] 뉴스 Enda Kenny says Irish economy strengthening but remains fragile https://www.irishtim[...] 2015-01-28
[146] 뉴스 No going back to boom and bust, says Kenny https://www.irishtim[...] 2015-03-09
[147] 뉴스 Enda Kenny: 2015 is the year of rural recovery http://www.irishexam[...] 2015-03-06
[148] Webarchive Ireland's Parliamentary Budget Office: Role and Scope in the Oireachtas https://papers.ssrn.[...] 2018-06-03
[149] 뉴스 Budget 2016: European Commission warns any extra revenues be used to cut debt http://www.independe[...] 2015-05-13
[150] 뉴스 Celtic phoenix - Ireland's economy emerges from ashes http://www.afr.com/n[...] 2015-03-17
[151] 뉴스 IMF sounds warning note over economic recovery https://www.irishtim[...] 2015-05-02
[152] 뉴스 Tánaiste Joan Burton warns Ireland's economic recovery is not secure https://www.irishtim[...] 2015-04-29
[153] 웹사이트 The Phoney Celtic Phoenix http://www.broadshee[...] Broadsheet.ie 2016-01-20
[154] 뉴스 What does 'Brexit nightmare' mean for Ireland? https://www.irishtim[...] 2016-06-24
[155] 웹사이트 Britain votes to leave EU: What does it mean for Ireland? http://www.rte.ie/ne[...] RTÉ.ie 2016-06-23
[156] 뉴스 Brexit: Move could see flood of funds shift to Dublin - FT https://www.irishtim[...] 2016-06-16
[157] 웹사이트 GDP (current US$) {{!}} Data https://data.worldba[...] 2022-05-13
[158] 웹사이트 GNI per capita, Atlas method (current US$) {{!}} Data https://data.worldba[...] 2022-05-13
[159] 웹사이트 The real story behind Ireland's 'Leprechaun' economics fiasco http://analysis.rte.[...] 2016-07-25
[160] 뉴스 'Leprechaun economics' - Ireland's 26pc growth spurt laughed off as 'farcical' http://www.independe[...] 2016-07-13
[161] 뉴스 Meat company's relocation to Ireland unlikely to affect GDP https://www.irishtim[...] 2016-08-10
[162] 뉴스 Irish GDP growth at staggering 26.3pc last year, economist says figures are 'meaningless' http://www.independe[...] 2016-07-12
[163] 뉴스 Irish tell a tale of 26.3% growth spurt https://www.ft.com/c[...] 2016-07-12
[164] 웹사이트 'Leprechaun economics' leaves Irish growth story in limbo https://www.reuters.[...] Reuters News 2016-07-13
[165] 웹사이트 'Leprechaun Economics' Earn Ireland Ridicule, $443 Million Bill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6-07-13
[166] 웹사이트 Leprechaun Economics https://twitter.com/[...] Paul Krugman (Twitter) 2016-07-12
[167] 웹사이트 Economy grew by 'dramatic' 26% last year after considerable asset reclassification https://www.rte.ie/n[...] RTE News 2016-07-12
[168] 웹사이트 What Apple did next http://economic-ince[...] Seamus Coffey, University College Cork 2014-01-24
[169] 웹사이트 International GNI to GDP Comparisons http://economic-ince[...] Seamus Coffey, University College Cork 2013-04-29
[170] 뉴스 Ireland's deglobalised data to calculate a smaller economy https://www.ft.com/c[...] 2017-07-17
[171] 뉴스 Lies, damned lies and the national accounts headline figures https://www.irishtim[...] 2017-12-16
[172] 웹사이트 Column: The Leprechauns are at it again in the latest GDP figures for Ireland http://www.thejourna[...] thejournal.ie 2017-03-17
[173] 웹사이트 Ireland named world's 6th worst corporate tax haven http://www.thejourna[...] journal.ie 2016-12-12
[174] 웹사이트 MANTRAS AND MYTHS: A true picture of the corporate tax system in Ireland https://www.oxfamire[...] RTE News 2017-02-01
[175] 뉴스 Oxfam says Ireland is a tax haven judged by EU criteria https://www.irishtim[...] 2017-11-28
[176] 뉴스 Blacklisted by Brazil, Dublin funds find new ways to invest https://www.reuters.[...] 2018-04-09
[177] 간행물 Uncovering Offshore Financial Centers: Conduits and Sinks in the Global Corporate Ownership Network Nature Magazine 2017-07-24
[178] 웹사이트 Tracking Tax Runaw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8-04-09
[179] 뉴스 Pfizer pulls out of €140bn Irish Allergan merger https://www.independ[...] 2018-04-09
[180] 웹사이트 Bloomberg Special TAX INVERSION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8-04-09
[181] 뉴스 Brussels in crackdown on 'double Irish' tax loophole https://www.ft.com/c[...] 2018-04-09
[182] 뉴스 Ireland's move to close the 'double Irish' tax loophole unlikely to bother Apple, Google https://theconversat[...] 2018-04-09
[183] 웹사이트 "'Impossible' structures: tax outcomes overlooked by the 2015 tax Spillover analysis" https://www.christia[...] Christian Aid 2018-04-09
[184] 뉴스 The United States' new view of Ireland: 'tax haven' https://www.irishtim[...] 2018-04-09
[185] 뉴스 Data Science Reveals NAFTA's Problem http://www.ia-forum.[...] Center for International Relations 2018-07-09
[186] 뉴스 US corporations could be saying goodbye to Ireland https://www.irishtim[...] 2021-07-04
[187]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188] 웹사이트 Industry Breakdown of Companies in Ireland https://www.hithoriz[...]
[189] 웹사이트 Aircraft Leasing & Financing. Industry in Ireland – Facts https://www.idairela[...] 2018-11-26
[190] 뉴스 Aircraft leasing: flying into the future https://www.independ[...] 2018-11-26
[191] 웹사이트 Alcohol Beverage Federation of Ireland (ABFI) http://www.abfi.ie/S[...] 2015-12-29
[192] 웹사이트 Beer industry in Ireland - ABFI / Beer http://www.abfi.ie/S[...] 2015-12-29
[193] 웹사이트 Cider industry in Ireland - ABFI / Cider http://www.abfi.ie/S[...] 2015-12-29
[194] 웹사이트 Spirits industry in Ireland - ABFI / Spirits http://www.abfi.ie/S[...] 2015-12-29
[195] 웹사이트 Economic impact - ABFI / Whiskey http://www.abfi.ie/S[...] 2015-12-29
[196] 웹사이트 Wine industry in Ireland - ABFI / Wine http://www.abfi.ie/S[...] 2015-12-29
[197] 웹사이트 Engineering https://www.idairela[...] 2020-05-13
[198] 문서 Energy in Ireland 1990 – 2004: Trends, issues, forecasts and indicators https://web.archive.[...] 2006-01
[199] 웹사이트 Bord Gáis Homepage http://www.bordgais.[...] Bord Gáis 2009-07-09
[200] 간행물 The GeGaLo index: Geopolitical gains and losses after energy transition 2019
[201] 잡지 Ireland: How the Celtic Tiger Became the World's Software Export Champ http://www.spiegel.d[...] 2009-07-09
[202] 웹사이트 Operational Irish Mines: Tara, Galmoy and Lisheen - Irish Natural Resources http://irishresource[...] Irish Natural Resources 2009-07-09
[203] 웹사이트 Winning in a polycentric world: globalization and the changing world of business - The Globalization Index 2010 summary - EY - Global http://www.ey.com/GL[...] ey.com 2015-12-01
[204] 웹사이트 Financial Services https://www.idairela[...] 2020-05-13
[205] 웹사이트 ICT https://www.idairela[...] 2020-05-13
[206] 웹사이트 Medical Technology https://www.idairela[...] 2020-05-13
[207] 웹사이트 Bio-Pharmaceuticals https://www.idairela[...] 2020-05-13
[208] 웹사이트 Software https://www.idairela[...] 2020-05-13
[209] 웹사이트 Agriculture in Ireland - The Irish Agri-Food Industry https://www.teagasc.[...] Teagasc 2019-05-16
[210] 웹사이트 Kerrygold becomes Ireland's first billion euro food brand https://www.irishtim[...] Irish Times 2019-05-18
[211] 웹사이트 How Ireland is turning into a food-processing giant https://www.irishtim[...] Irish Times 2018-03-31
[212] 웹사이트 Forests, Grasslands and Drylands: Ireland. http://earthtrends.w[...] World Resources Institute 2006
[213] 웹사이트 1. Historical Context http://www.heritagec[...] Heritage Council of Ireland
[214] 웹사이트 An Economic/Socio-Economic Evaluation of Wild Salmon in Ireland http://www.cfb.ie/pd[...] Indecon International Economic Consultants, for the Central Fisheries Board 2003-04
[215] 웹사이트 The Mineral Industry of Ireland http://minerals.usgs[...] U.S. Geological Survey 2001
[216] 웹사이트 Ireland https://www.cia.gov/[...] CIA 2006
[217] 웹사이트 The Atlas of the Irish Rural Landscape. http://www.wesleyjoh[...] Cork University Press 1997
[218] 웹사이트 Natural Gas In Ireland. http://www.bgeuk.ie/[...] Bord Gáis 2006
[219] 웹사이트 Ireland production in 2019, by FAO http://www.fao.org/f[...]
[220] 웹사이트 Ireland's Livestock in 2019, by FAO http://www.fao.org/f[...]
[221] 웹사이트 Banking in Ireland http://www.finance.g[...] Department of Finance
[222] 웹사이트 Banks in Northern Ireland face Competition Commission investigation http://www.wragge.co[...] 2005-06
[223] 웹사이트 Insurance Supervision Report on the Observance of Standards and Codes (ROSC): Ireland.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1-02-20
[224] 웹사이트 http://www.finfacts.[...] Finfacts Ireland 2008-08-10
[225] 웹사이트 https://www.welfare.[...] DEASP 2019-08-09
[226] 웹사이트 Measuring Ireland's Progress: 2005 http://www.cso.ie/r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2006-06
[227] 웹사이트 Country statistical profiles 2006: Ireland. http://stats.oecd.or[...] OECD
[228] 웹사이트 http://www.finfacts.[...] Finfacts Ireland 2008-08-10
[229] 웹사이트 Design for Irish coin denominations http://www.myguideir[...] Myguideireland.com 2009-07-09
[230] URL http://budget.gov.ie[...]
[231] URL http://www.cso.ie/en[...]
[23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5-03-03
[233] URL http://www.cso.ie/en[...]
[234] URL http://www.cso.ie/en[...]
[235] URL http://www.cso.ie/en[...]
[236] URL http://www.irishtime[...]
[237] URL http://www.cso.ie/qu[...]
[238]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Ireland 2015 http://www.doingbusi[...] World Bank 2014-11-17
[239] URL http://www.cso.ie/en[...]
[240] URL http://www.cso.ie/en[...]
[241]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Ireland - Official External Reserves http://www.centralba[...] 2015-03-03
[242] 웹사이트 Standard & Poor's raises Ireland's credit rating to A+ http://www.rte.ie/ne[...] 2015-06-05
[243] 웹사이트 Fitch restores A grade to Irish economy http://www.irishtime[...] 2015-03-03
[244] 웹사이트 ODA by Recipient http://stats.oecd.or[...] OECD 2012-04-22
[245] 웹사이트 Country Statistical Profiles http://stats.oecd.or[...] OECD 2012-04-22
[246] 웹사이트 Irish/Ireland Tax 2010, Corporate Taxes, Taxation, Personal, Income, 2008, Taxation , Stamp Duty, Capital Gains, Property, Rates, : Finfacts Ireland http://www.finfacts.[...] Finfacts.ie 2010-11-24
[247] 웹사이트 アイルランドの人口・就業者・失業率の推移 http://ecodb.net/cou[...] 2015-09-05
[248] 웹사이트 WORLD COST OF LIVING 2004 http://www.finfacts.[...]
[249] 웹사이트 Taxations And savings in Ireland http://www.tcd.ie/Ec[...] Trinity College, Dublin 2008-06-17
[250] PDF Consumer Prices Bi-annual Average Price Analysis Dublin and Outside Dublin: 1 May 2006 http://www.finfacts.[...]
[251] 뉴스 アイスランドからの教訓、債権者負担と福祉保護が鍵-IMF http://www.bloomberg[...] 2013-10-05
[252] 뉴스 アイルランド、国家存続の瀬戸際へ http://www.newsweekj[...] 2013-10-05
[253] 뉴스 アイルランドに緊急融資へ EUとIMF、最大10兆円 https://www.nikkei.c[...] 2013-10-05
[254] 뉴스 経済破綻のアイルランド、移民ブーム再び? 夢破れた「ケルトの虎」は再び世界中へと拡がる http://jbpress.ismed[...] 2013-10-05
[255] 뉴스 アイルランド、年内に国際支援脱却の可能性=IMF https://jp.reuters.c[...] 2013-10-05
[256] 뉴스 アイルランドの成長率予想を下方修正、回復に大きなリスク=IMF https://jp.reuters.c[...] 2013-10-05
[257] 뉴스 EU hits Apple with $14.5 billion Irish tax demand http://www.reuters.c[...] ロイター 2017-09-04
[258] 웹사이트 http://www.thepost.i[...]
[259] 웹사이트 http://www.irish-ene[...]
[260] 웹사이트 http://www.irish-ene[...]
[261] 웹사이트 U.S. Trade Balance with Ireland http://www.census.go[...]
[262]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0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0-10-22
[263] 웹인용 Country Rankings: World & Global Economy Rankings on Economic Freedom https://www.heritage[...] 2021-04-05
[264] 뉴스 Ireland named best country for high-value FDI for sixth year in a row https://www.irishtim[...] 2017-08-31
[265]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 GDP per capita https://www.imf.org/[...] 2020-10-13
[266] 웹인용 PPP (current international $)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07-07
[267] 뉴스 Ireland GDP – real growth rate http://www.indexmund[...] 2012-04-22
[268] 웹인용 Quarterly National Accounts -Quarter 1 2012 http://www.cso.ie/en[...] CSO 2012-07-12
[269] 웹인용 Quarterly National Accounts -Quarter 1 2013 http://www.cso.ie/en[...] CSO 2013-09-15
[270] 뉴스 European Economic Forecast Spring 2013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3-09-15
[271] 웹인용 'Leprechaun Economics' Earn Ireland Ridicule, $443 Million Bill https://www.bloomber[...] 2016-07-13
[272] 뉴스 CSO paints a very different picture of Irish economy with new measure https://www.irishtim[...] 2017-07-15
[273] 뉴스 New economic Leprechaun on loose as rate of growth plunges https://www.independ[...] 2017-07-15
[274] 웹인용 Leprechaun-proofing economic data https://www.rte.ie/n[...] RTE News 2017-02-04
[275] 뉴스 Ireland's Top 1000 Companies 2018-01-01
[276] 웹인용 IRELAND Trade and Statistical Note 2017 http://www.oecd.org/[...] OECD 2017-01-01
[277] 웹인용 20 multinationals paid half of all Corporation tax paid in 2016 https://www.rte.ie/n[...] RTE News 2017-06-21
[278] 웹인용 Most of Ireland's huge corporate tax haul last year came from foreign firms https://fora.ie/mult[...] sunday Business Post FORA 2016-05-14
[279] 웹인용 Downward growth predicted for economy in 2019 and 2020 https://www.irishexa[...] 2019-04-19
[280] 웹인용 Irish economic growth to decline as IMF issues bleak global forecast https://www.irishtim[...] 2021-06-30
[281] 웹인용 Alcohol Beverage Federation of Ireland (ABFI) http://www.abfi.ie/S[...]
[282] 웹인용 Beer industry in Ireland - ABFI / Beer http://www.abfi.ie/S[...]
[283] 웹인용 Cider industry in Ireland - ABFI / Cider http://www.abfi.ie/S[...]
[284] 웹인용 Spirits industry in Ireland - ABFI / Spirits http://www.abfi.ie/S[...]
[285] 웹인용 Economic impact - ABFI / Whiskey http://www.abfi.ie/S[...]
[286] 웹인용 Wine industry in Ireland - ABFI / Wine http://www.abfi.ie/S[...]
[287] 웹인용 Engineering https://www.idairela[...]
[288] 웹인용 Financial Services https://www.idairela[...]
[289] 웹인용 Software https://www.idairela[...]
[290] 뉴스 http://www.finfacts.[...] Finfacts Ireland 2008-08-10
[291] 간행물 https://www.welfare.[...] DEASP 2019-08-09
[292] 간행물 Measuring Ireland's Progress: 2005 http://www.cso.ie/re[...] 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2006-06
[293] 웹사이트 Country statistical profiles 2006: Ireland. http://stats.oecd.or[...] OECD Statistics 2006-08-07
[294] 뉴스 http://www.finfacts.[...] Finfacts Ireland 2008-08-10
[295]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Sunday Tribune 2008-08-10
[296] 웹인용 Design for Irish coin denominations http://www.myguideir[...] Myguideireland.com 2009-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